The spaces are stacked so they have relationships with another. The structure is placed on the periphery of each space so it does not obstruct the function nor the relationship with the adjacent space. the users could enjoy their work on each floor while also having a relationship with their peers in another space. we could begin to imagine that spaces, which the many activities are happening in, actually compose one large space.
동아대학교 부민캠퍼스는 자연과 도심, 역사와 미래, 대학과 공동체를 연결해주는 것을 목표로 설계하였다. 캠퍼스와 후면의 경사지를 연결하기 위하여 데크를 사용하였으며, 이 데크를 통해 자연스러운 레벨의 변화가 이루어지도록 계획하였다. 또한 부민캠퍼스는 구 부산지방법원과 부산지방검찰청으로 사용되던 대지이며, 이 역사적 유산과 시각적, 물리적으로 어울리도록 디자인되었다. 캠퍼스의 다양한 외부공간을 통해 학생과 교수, 지역사회가 한데 어우러질 수 있는 공동체로서의 캠퍼스라는 새로운 역할을 제시하고자 하였다.